[S3의 업로드 방법]
1. Mgmt Console
AWS 콘설 화면 즉 웹창에서 파일을 업로드 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대 160GB까지만 올릴 수 있으며 올리려는 파일의 크기가 160GB를 초과하면 CLI, SDK, Rest API 방식으로 업로드를 해야한다.
2. CLI,SDK
멀티파트 업로드를 진행함 최대 5TB 까지
파트별 최대 업로드 가능 크기는 5GB
파트별로 나눠서 업로드 된것을 AWS는 다시 합치는 원리로 동작한다.
◎ 멀티파트 업로드의 장점
여러 개로 나누어서 동시에(병렬로) 진행을 하므로 업로드 시간이 빠르다
문제 발생시 해당 파트만 재 업로드 하면 된다.
대용량의 객체를 업로드 할 수 있다.
3. Transfer Acceleration
S3로 더 빠른 속도로 전송하는 기능
글로벌 서비스를 이용할 때 용이하다.
4. S3로 대량의 데이터를 이동 시킬 때(migration)
네트워크로 전송하기에 너무 버거울 경우 장비를 받아서 장비에 데이터를 담은 다음 AWS에 보내준다.
- Snowcone 장비 이용
디바이스당 8TB
- Snowball 장비 이용
.Snowball Edge Compute Optimized : 저장소 + 전처리 : 42TB
.Snowball Edge Storage Optimized : 대규모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시에 적합, 반복 전송 : 80TB
- Snowmobile
엄청나게 큼.... 컨테이너 트레일러 트럭으로 견인을 해야할 정도의 장비
Snowmobile 1대당 최대 100PB
[S3 액세스 제어]
Default
소유자만 액세스 할 수 있음
버킷을 생성했을 때의 기본 설정
"모든 퍼블릭 엑세스 차단"이 바로 기본 설정이다.
public
누구나 접근할 수 있음
명시적으로 허용해야 함
S3 버킷 정책 지정
액세스 정책을 직접 지정하는 방법
(Json의 형태로)
'System_Engineering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RS 정책] (0) | 2024.06.30 |
---|---|
[버전관리] (0) | 2024.06.30 |
[스토리지 클래스] (0) | 2024.06.30 |
[S3란?] (0) | 2024.06.30 |
[스토리지의 유형] (0) | 2024.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