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일스토리지
- 파일과 폴더의 계층 구조를 담고 있는 스토리지파일들의 메타데이터를 가지고 있음
- NAS, EFS (Elastic File Storage)
- 경로를 통해서만 읽고 쓰고를 할 수 있게 된다.
2. 블록스토리지
-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덩어리로 나누어 저장하는 방식
- 블록마다 고유 주소 정보가 있어서 이 정보를 이용해 블록을 재구성할 수 있음
- 계층 구조 없이도 엑세스 할 수 있음 ( 즉 접근 경로가 다양해진다는 뜻)
- SAN, DAS, EBS
- 블록 스토리지가 있음으로써 여러 개의 블록에 읽기 쓰기가 가능해진다.
- 읽기도 많고 쓰기도 많을 때는 이 방식을 써야 한다.
3. 객체 스토리지
- 객체 단위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방식의 스토리지
- 쓰기 단위를 객체 단위로 한다 파일 저장할 때 파일에서 값을 읽어내기 위해 파일에 Key를 지정하게 된다.
- 객체는 Key, 파일, 메타 데이터(그것들에 대한 상세 설명 내용)를 하나의 덩어리로 구성된 것이다.
※ Object : key + Data(=File) + Metadata
- WORM(Write Once Read Many)방식으로 동작할 때 유리하다 (한번 만들어 놓고 여러 번 읽을 때 유리하다, 읽기도 많고 쓰기도 많을 경우에는 쓰면 안됨)
- S3가 바로 이러한 객체 스토리지이다.
'System_Engineering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토리지 클래스] (0) | 2024.06.30 |
---|---|
[S3란?] (0) | 2024.06.30 |
배치그룹(2) (0) | 2024.06.30 |
배치그룹 (0) | 2024.06.30 |
요금방식과 테넌시 (0) | 2024.06.30 |